# 드림코딩 자바스크립트 마스터리 두번째 완강을 하고 다시 쓰는 수강후기 처음들으면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 두번째 들으니 재밌게 들었다. 깔끔하고 지루하지 않은 강의 구성 - 지루해질만하면 다음 주제로 넘어가서 좋다. - 가장 좋았던 부분 중 하나 수업자료 퀄리티가 정말 좋다. 이해하기 쉽게 그림으로 보여주고 설명을 해줘서 그런지 이해하기도 더 수월했다. 퀴즈풀이 - 주제마다 퀴즈가 있어서 배운걸 바로 복습하기에 좋다. - 나만 그럴지는 모르겠는데 퀴즈가 조금 두루뭉실한게 있어서 문제자체를 이해 못하고 풀이강의로 넘어간적이 있어서 그점이 조금 아쉬움 - 그래도 내 실력확인하는데는 정말 좋은듯! 다양한 꿀팁정보 - 큰 장점중 하나였는데 중간중간 현직에서는 어떤지 요즘은 어떤지 등등 꿀팁을 틈틈히 알려준다...
# 프로세스와쓰레드 프로세스(Process)란?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쓰레드(Thread)란? 어떠한 프로그램 내에서, 특히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 보통 하나의 쓰레드를 가짐 여러개의 쓰레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 도 있음 - multithread 한 프로세스 안에서 code, data, heap을 공유함 메모리 구성 : code, data, heap, stack # 동기 처리 함수호출 → 실행컨텍스트 생성 실행컨텍스트는 콜스택에 추가(push) 되고 종료 후 제거(pop) 됨 콜스택(Call Stack) : LIFO(Last In First Out) 라고 부르는 자료구조, 제일 나중에 들어온것이 제일 처음으로 나간다는 뜻 자바스크립트는 단하나의 콜스택을 가짐 (..
#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이벤트 이벤트란? ☞ 여러가지 일들을 각각의 상황의 맞게 처리할 수 있는 메뉴얼 같은것 event handler = event listener = event 콜백함수 addEventListener() onclick 을 쓸수도 있으나 지금은 잘 쓰지 않음 알아둬야 할 이벤트 load change mouseleave scroll submit mouseup resize click keydown blur mousedown keyup focus mouseenter - dbclick 버그가 많아서 잘 쓰지않음 #이벤트플로우(event flow)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목표라면 이벤트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는것 뿐만 아니라 이벤트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알고 있어야..
#DOM 이란? 브라우저의 렌더링 엔진은 HTML 문서를 파싱하여 브라우저가 이해할 수 있는 자료구조인 DOM을 생성한다. DOM은 HTML 문서의 계층적 구조와 정보를 표현하며 이를 제어할수 있는 API, 즉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제공하는 트리 자료구조다. Chapter 1 - Node Overview HTML 요소는 DOM을 구성하는 요소 노드 객체로 변환됨 요소간 중첩관계에 의해 부자관계 형성 DOM은 HTML 문서의 계층적 구조와 정보를 표현 노드 객체의 종류, 즉 노드 타입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프로퍼티와 메서드의 집합인 DOM API로 제공 DOM API를 통해 HTML의 구조나 내용 또는 스타일 등을 동적으로 조작 가능 문자열인 HTML을 자바스크립트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것 → PA..
파싱(parsing) : 문법에 맞게 작성된 문서를 읽어 들여 실행하기 위해 텍스트 문서의 문자열을 토근(token, 문법적으로 더는 나눌 수 없는 코드의 기본 요소)으로 분해하고, 토큰에 문법적의미와 구조를 반영하여 트리 구조의 자료구조인 파스트리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 렌더링(rendering) : HTML, CSS, JS로 작성된 문서를 파싱하여 브라우저에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 렌더링 과정 필요한 리소스를 요청 서버로부터 응답 응답받은 HTML, CSS를 파싱하여 DOM, CSSOM을 생성 결합하여(DOM + CSSOM) 렌더트리 생성 렌더트리를 기반으로 HTML 요소의 레이아웃(위치와 크기) 계산 브라우저 화면에 HTML요소 페인팅 # 요청과 응답 서버에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브라우저는 주소창을..
#callback 1. 동기와 비동기 자바스크립트는 동기적이다. hoisting이 된 이후 부터 작성한 순서에 맞춰 하나씩 실행된다는 것(한번에 하나의 일만 수행) hoisting? var, function declaration(함수선언) 같은 선언들이 제일 위로 올라가는것 synchronous(동기)는 정해진 순서에 맞게 코드가 실행되는것이고 asynchronous는 비동기적으로 언제코드가 실행될지 예측할 수 없는것 console.log(1); console.log(2); console.log(3);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를 제일 위에서 부터 밑으로 실행하기 때문에 순서대로 작동된다. console.log(1); setTimeout(() => console.log(2),1000); console.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