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액트를 할 때 제일 유용하고 자주 사용했던게 고차함수 였다. 잘 알아두자 고차함수란? -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거나(콜백함수) 함수를 반환하는 함수 - 일급객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외부변경을 피하고 불변성을 유지하는 함수형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한다. - 데이터 변경 ❌, 변수 사용 ❌, 조건문 ❌, 반복문 ❌ 지향 - 순수함수를 통해 에러를 줄이고 가독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보장하려고 한다. 유용한 고차함수 메서드 알아두기 ✨ sort 배열의 요소 정렬 (기본 오름차순 정렬) forEach 자신의 내부에서 반복문을 통해 순회하며 콜백함수로 전달받아 실행 map 배열의 모든 요소를 순회하며 요소들을 각각 새로운 요소로 매핑하여 새로운 배열로 반환 filter 콜백함수의 반환값이 true인 경우 즉..
- 옮기기전에 있던 블로그에서 가져오고 싶은 글들을 조금씩 옮겨야겠다. - 배울 때 새롭게 배우면서 웹접근성에 대해 확 이해할 수 있었던 부분! wai-aria (Web Accessibility Initiative 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 w3c가 출판한 기술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장치로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는 유저들의 접근성을 높인다. 예를들어 rohjs bugless-101 previous 1
반복문 강의를 듣다보니 생긴 의문! 어떤 상황에 for문을 사용하고 또 어떤 상황에 while문을 사용할까? for문 for(변수선언문; 조건식; 증감식) { 실행문; } while문 while (조건식) { 실행문; } 두 반복문의 공통점 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 까지 실행문을 반복 즉 조건식이 참이면 코드블럭을 수행하고 거짓이 되면 수행을 종료 차이점은? while문은 조건을 참인 채로 계속 실행하게 되면 무한반복 하게 된다. 일정한 조건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 무한반복하며 사용할 수 있다. for문도 무한반복에 빠질수도 있지만 정해진 조건식과증감식을 통해 언젠가는 거짓이 되어 실행문을 종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하게 정해진 조건을 수행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일정하게 조건을 수행하는 for문이 일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