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모던자바스크립트

1. 스코프(scope)란? 모든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범위가 결정된다. 즉,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이다. const x = 'global'; function foo() { const x = 'local'; console.log(x); // 'local' } foo(); console.log(x); // 'global'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를 통해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할 것인지 결정한다. 스코프란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코드를 실행할 때 코드의 문맥을 고려한다. 어디서 실행되고 주변에 어떤 코드가 있는지에 따라 동일한 코드도 다른 결과를 만들어 낸다. 스코프 내에..
1. 함수란? 함수는 쉽게 말해 입력을 받아 출력하는 것이다. 매개변수(Parameter)를 통해 함수 내부로 입력받고, 인수(argument)를 통해 입력하고, 출력 결과를 반환값으로 반환한다. 함수는 값이다. 함수는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구별하기 위해 식별자인 함수 이름을 사용한다. 함수는 함수 정의를 통해 생성한다, 함수 정의를 한 뒤 매개변수로 전달 될 인수를 입력하여 함수를 호출한다. 호출 된 함수는 매개변수에 인수가 전달되고 함수 내의 문들이 실행되고 실행결과를 반환한다. 💡 함수의 장점 코드의 재 사용 코드의 중복을 억제하고 재 사용성이 높은 함수는 유지보수가 편리함 코드의 실수를 줄여 코드의 신뢰성이 높아짐 함수의 식별자를 통해 함수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어 가독성이 높아짐 2. 함..
1. 객체란?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원시값을 제외한 거의 모든 것이 객체이다. 객체 타입은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한 복합적인 자료구조이다. 객체 타입의 값은 변경 가능한 값이다. 객체는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된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와 값으로 구성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 값이 될 수 있다.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method)라고 부른다. 객체는 프로퍼티와 메서드로 구성된 집합체이다. 프로퍼티 :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 메서드 : 프로퍼티(상태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 1.1 객체 생성 방법 객체 리터럴 Object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 Obj..
📍 논리합 또는 논리곱 연산자 표현식의 평가 결과는 불리언 값이 아닐 수 있다. 또, 언제나 2개의 피연산자 중 어느 한쪽으로 평가된다. 1. 단축평가 논리 연산의 결과를 결정하는 피연산자를 타입 변환하지 않고 그대로 반환하는 것을 '단축 평가'라 한다. 단축 평가는 표현식을 평가하는 도중에 평가 결과가 확정된 경우 나머지 평가 과정을 생략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단축 평가를 통해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 1.1 논리연산자를 사용한 단축 평가 'Cat' && 'Dog' // 'Dog' 논리곱(&&)은 두 개의 피연산자가 모두 true로 평가 될 때 true로 반환한다. 평가 진행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된다. 첫번째 피연산자가 true 여도 두번째 피연산자가 false이면 fa..
# 제어문(control flow statement)이란?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조건문)하거나 반복 실행(반복문)할 때 사용한다. 제어문을 사용하면 코드의 실행 흐름을 인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1. 블록문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으로, 코드블록 또는 블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블록문을 하나의 실행단위로 취급한다. 또한, 블록문은 자체 종결성을 가지기 때문에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2.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 주어진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코드 블록의 실행을 결정한다. 조건식은 불리언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다. 2.1 if문, if...else문 if(조건) { //조건이 참이면 실행 } if(조건) { //조건이 참이면 실행 ..
# 연산자(Operator)란?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라 한다.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1.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든다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NaN을 반환한다. 1.1 이항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s)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 ** (거듭제곱) +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로 반환된다. (암묵적 타입 변환) 1.2 단항 산술 연산(Unary Operators) ++ (증가) -- (감소) 피연산자 앞에 증가/감소 연산자가 위..
개발중인제이
'Front-end/모던자바스크립트'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