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프로젝트 진행하는 모습을 움짤로 만들어야되는 경우가 많은데
거의 노트북에 있는 내장기능을 이용해서 영상으로 기록한 다음 움짤로 변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래는 자주 이용하던 사이트가 있었는데
Animated gif tools
Easy to use online animated GIF maker and image editor. Upload and edit GIF images for free. Create, crop, resize, reverse, optimize and split animated GIFs, cut and resize videos, WebP and APNG animations.
ezgif.com
간단하게 영상을 올리고 내가 원하는 길이로 잘라 움짤로 저장할 수 있어서 자주 이용했었다.
이번에도 사용할 일이 있어서 움짤을 저장해 봤더니..?
눈이 침침해지는 기분이 들다...
영상의 크기가 크고 변환해주는 크기는 작다보니 움짤이 흐~릿해서 사용할 수가 없었다.
오랜만에 사용해서 그런지 예전에 비해 지원해주는 크기가 많이 줄어든거 같았다.
아무튼 다른 방법을 찾아보다가 터미널에서 명령어로 움짤을 만들수 있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알게 됐다.
FFmpeg
Converting video and audio has never been so easy. $ ffmpeg -i input.mp4 output.avi News September 30th, 2024, FFmpeg 7.1 "Péter" FFmpeg 7.1 "Péter", a new major release, is now available! A full list of changes can be found in the release changelo
www.ffmpeg.org
FFmpeg는 오픈소스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로,
비디오 및 오디오 파일의 변환, 편집 같은 작업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즉, 다양한 멀티미디어 작업을 명령어로 제어할 수 있는 툴킷이다.
사용방법은 간단하다.
터미널에서 설치한 뒤 명령어로 원하는 파일들을 움짤로 변환하면 된다.
(저는 현재 맥북을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현재 설치되어있을 수 있으니 버전 확인
ffmpeg -version
2. 만약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하기
brew install ffmpeg
3. 영상이 있는 폴더로 들어가기
cd ~/Desktop/ProjectVideos
4. 폴더에 있는 영상 움짤로 저장하기
ffmpeg -i "파일명.mov" -vf "fps=15,scale=1920:-1:flags=lanczos" 저장할움짤명.gif
💡만약 원하는 길이로 움짤을 만들고 싶다면?
ffmpeg -i "파일명.mov" -t 29 -vf "fps=15,scale=1920:-1:flags=lanczos" 저장할움짤명.gif
-t 29 부분에 원하는 길이의 영상길이를 입력하면 된다.
아무튼 이렇게 간편하게 명령어로 영상을 움짤로 변환할 수 있었다.
다들 고화질의 움짤을 만들고 싶다면 간편하게 명령어로 변환해보시길..!!